객체지향 (3) 썸네일형 리스트형 [SOLID] 파이썬 코드로 이해하는 SRP(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) # srp.py class Bookshelf: def __init__(self): self.books = [] def add(self, name): self.books.append(name) def remove(self, name): return self.books.remove(name) def all_list(self): return "\n".join(f"{index}: {book}" for index, book in enumerate(self.books, 1)) class BookshelfFileIO: @staticmethod def save_to_file(bookshelf, filename): with open(filename, "w") as file: file.write(bookshelf.all_.. [자바쌩기초] 6강 객체지향 프로그램의 시작 6강 객체지향 프로그램의 시작 절차지향위에서 부터 아래로 쭉 실행한다.비효율적인 것은 무엇인가?1~10까지 합을 구하는 로직이 있을 때, 5~100까지 구하는 로직으로 바꾼다고 하였을 떄, 동일한 작업이지만 다시 코드를 수정해야한다.기존 로직을 다시 사용할때 다시 코딩하는 방법, 코드를 카피해서 재사용 할 수 있는데 모두 비효율 적이고,두번째 방식으로 개발을 하게 되면 동일한 로직의 코드가 문서 내에 넘쳐나고 코드의 양이 쓸데없이 길어진다.이것에 의해서 만들어 진것이 함수 / 메소드 이다.이를 통해서 절차지향 상에서 코딩할 때, 효율을 높일 수 있었다.객체지향데이터가 많아지고, 메소드가 많아짐에 따라 코드의 양이 많아지게 되고 유지보수가 어렵게 되었다.객체동일한성질의 데이터와 메소드를 한곳에 모아두고, .. [면접질답] 2일차 면접질답 1일차 // 180714 - 질문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태형기술 : 당신이 생각하는 객체지향에 대해서 생각나는대로 얘기해보세요.멘탈: 본인이 좋아하는 프레임워크와 그 이유에 대해서 말해보세요.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태준기술: 알고있는 정렬 알고리즘과 그 중에 좋아하는 정렬 알고리즘을 설명해보세요.멘탈: 학창시절 몰입했던게 있나요? 그게 무엇인가요?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.. 이전 1 다음